알약과 같은 바이러스제거 프로그램이 진단하는 내용 중 "misc.hacktool.autokms" 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러한 검진은 윈도우를 부팅할때마다 뜨는 사람이 있는것 같습니다. 내용상으로 보았을때는 KMS Auto 계열의 불법 정품인증 크랙이 진단되었다는 것 입니다.
불법적인 해킹툴의 경우에는 컴퓨터 자체에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알약과 같은 바이러스 진단프로그램이 진단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외부 서버와 통신을 하며 인증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악성코드를 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를 해야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해당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거나, 정품 윈도우를 사용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요즘에는 그리 비싸지도 않으니 잘 보면 저렴한 제품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뜻, 증권이란 무엇일까요? (0) | 2021.01.31 |
---|---|
kmphelper 삭제 해도 되나? (0) | 2021.01.31 |
lg u플러스 컬러링 서비스 가격 (0) | 2021.01.31 |
금영 인기차트 확인하는 방법 (0) | 2021.01.31 |
금영노래방 순위 확인하는 방법 (0) | 2021.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