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직구가 광범위 해진것 같습니다. 과거에 제가 열심히 직구를 할때만해도 해외에서 옷을 사는 사람을 보면 신기한 사람처럼 생각을 했는데 이제는 그런 눈으로 보는 사람도 많이 적어진것 같아요.
그 중에서 아마존을 이용하는 사람도 많이 증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아마존에서 주소를 입력하는 항목에서 집코드(zip code)입력에 애를 먹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zip 코드라는 것은 우리나라 말로 우편번호를 의미합니다.
이 우편번호는 2개로 나뉠 수 있을것 같아요.
첫번째, 배송대행지(배대지)로 보낼때는 해당 배대지의 zip code를 입력을 하면 됩니다.
위는 몰테일의 집코드입니다. 빨간 박스가 쳐있는것이 각각의 배송대행지의 집코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에서 물건을 구입을할때 배대지를 통하여 배송을 받기 위해서는 이 집코드를 입력을 하면 됩니다.
두번째, 직접 한국으로 배송을 보낼 때는 우리나라 우편번호를 입력을 하면됩니다.
우리나라 우편번호는 검색하면 다 나오기 때문에 별도로 언급하지는 않겠습니다. 제 경험에 따르면 과거의 6자리 우편번호 시스템이든 5자리 우편번호시스템이든 다 오는것 같습니다. (심지어는 입력하지 않아도 옵니다)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강제로 끄는법 확인 (0) | 2017.11.26 |
---|---|
pdf 안열림 해결할만한 방법 (0) | 2017.11.26 |
로지텍 c922 드라이버 위치 (0) | 2017.11.25 |
핸미노트 꽤나 괜찮아 보이지만... (0) | 2017.11.25 |
inline crossex service 지워도 되나? (0) | 2017.11.25 |